Scroll →

감상 완료

no. 2  [영화] 가타카

가타카 (1997년 작) 밀님의 추천으로 보기시작한 영화... SF에 가깝다고 생각했는데 SF는 곁들임이고 인간찬가, 희망론적인 영화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유전자... 그러니까 혈액으로 모든 것이, 태어나는 순간 자신의 운명이 정해지는 그런 디스토피아 세계관인데 주인공은 불가능은 없다. 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그런 이야기이다. (정말 단순하게 표현했을 때의 스토리.) 좋은 점이 많았다. 아주 어려운 영화도 아니고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했고 모든 주요 등장인묻들에게 나름의 사정이 있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없었다. 오히려 보면 볼수록 몰입을 하게 되어 마지막 엔딩 부분에서 눈물이 찔끔 났을 정도이다. 제일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당연히 빈센트이지만 그와 더블 주인공이라고 하는 제롬도 있다. 엔딩까지 본 시점에선 제롬에게 더 마음이 간다. 그는... 빈센트에게 정말 모든 것을 넘겨주고 홀로 떠나가버렸으므로... 정말 깔끔한 엔딩이었지만 영화의 연출과 그가 바로 직전에 빈센트에게 친 대사 (나는 네게 몸을 빌려줬지만 너는 내게 꿈을 줬다.) 덕에 영영 잊을 수 없는 한 장명이 되었다. 극 중 빈센트는 소위 말하는 열성유전자인데 세상이 자신에게 주어준 운명과 자신의 열성 유전자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극단적으로 유전자를 바꿔치기 하는 선택까지 했던 것이 굉장히 인상적이다. 극이 진행되는 중 살인사건이 하나 일어나는데 작은 실수로 빈센트의 존재가 경찰에게 노출되었고 당연하지만 그들은 부적격자인 빈센트가 범인일 것이라 생각하고 그의 뒤를 쫒는 것도 인상적이며 한편으론 안타까웠다. 단지 열성 유전자라는 이유만으로 빈센트는 정말 연관도 없는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되어 갑작스레 자신의 모든 것을 위협받은 것이다. 그 사실이 이 영화가 참 많은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하였다. 말이 길었지만 이 영화는 인간의 가능성과 과학의 한계를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점점 더 발전하고 과학과 확률, 정확한 것에 의존하는 경향이 없잖아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에 선 모두가 열성이라며 낮잡보던 인간이 가져갔다는 것이 참으로 많은 것을 시사한다고 본다. 명대사도 굉장히 많았다. 살며 한번쯤은 꼭 봐야하는 명작이라고 생각한다. + 빈센트가 모든 역경을 헤치고 비로소 우주로 나아가는 문턱에 섰을 때 유전자를 감별하는 위치에 있는 이가 자신의 자식도 부적격자이며 당신을 동경하고 이 곳에 오고 싶다고 하는 것이 좋았다. 마지막에는 그를 제롬이 아닌 빈센트라고 불러준 것도. 빈센트는 제롬이 있었기에 여기까지 도달할 수 있었지만 사실 그 모든 것은 빈센트, 스스로 이뤄낸 성과라고 해주는 것 같아 무척이나 좋았다.

타래 작성일 :

감상 완료일 :

감상 완료

no. 1  [영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그대들은 어떻게 살것인가. (2023년, 미야자키 하야오) 굉장히 좋았다... 후기나 글... 이란걸 너무 오랜만에 써서 두서없을 수 있음. 굉장히 주절거리는거 좋아함. 개인적으로 지브리 영화를 무척이나 좋아한다. 지브리 특유의 그 감성과 미야자키 하야오가 추구하는 방향을 굉장히 좋아한다... 초반에는 지루한 감도 없잖아 있긴 했지만 후반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원래 모든건 초반의 빌드업이나 떡밥 뭐 그런 것들이 중요하니까... 난해하긴 했지만 그렇다해서 막 어렵다!!! 는 개인적으로 아니었다. 어려웠다해도 충분히 좋은 영화고 좋은 이야기라고 생각하며... 그리고 조류가 많이 나온다는건 알고 있었지만 진짜 조류투성이라서 조금 웃었다. 중간중간 미야자키가 미야자키하는 장면도 있음. 그리고 진짜 돌아가는 왜가리드럼이다. 개인적으로 보면 인상깊었던 장면... 벌써 기억이 휘발되기 시작했는데 중후반쯤에 나츠코가 마히토에게 네가 싫다며 돌아가라고 하니 마히토가 나츠코 엄마. 라고 불러주는 장면이 인상깊었다. 영화를 보며 마히토의 마음을 모르겠는 것도 아니었어서... 개인적으론 가슴이 조금 뭉클해지는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 엔당즈음에 히미가 마히토에게 너를 낳는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말해주는 것도 좋았다. 큰할아버지와의 대화도 좋았고... 그 부분이 미야자키가 말하고 싶은 부분이었다고도 생각해. 엔딩이 굉장히 담백하다 못해 엥? 싶을 수 있다! 정말... 담백하고 어떻게보면 허무하다고 느껴질 수 있을 정도로. 그렇지만 오히려 그 점이 좋았다. 작중에서 마히토는 자기 머리에 스스로 상처도 내고 그러는 아니였는데 마지막엔 돌아가서 친구를 만들겠다고 했다. 난 그게 참 많은 걸 말해준다고 생각했고 나츠코를 엄마라고 부르던 그 장면과 더불어 마히토의 성장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마히토는 다시 도쿄로 돌아가서 또 어떻게든 살아가겠지... 가족과 행복하게... 그 이상하고 기이한 경험을 기억중일지는 모르겠지만 잊는다해도 그 일은 마히토의 마음에 남아있을테고 앞으로 살아가는데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 아! 제일 좋았던 캐릭터는 키리코이다. 위에서의 할머니 모습도, 아래에서의 젋은 모습도 정말 매력적이고 개인적으론 왜가리남보다 더 감초역할이었다고 생각함. 그대들은 어떻게 살것인가. 제목 그대로 어떻게 살것이냐고 묻고 있는 것처럼 엔딩도 그의 연장선이라 생각한다. 이 영화를 본 당신은 무슨 생각을 하고 느꼈으며 어떻게 할 것인가... 하지만 거창한 답은 필요치 않다고도 생각했다. 마히토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궁금해하고 생각하며 나또한 그러면 된다고 생각했다. 마무리로 와라와라가 굉장히 귀엽고 요네켄의 노래가 무척 좋았습니다.

타래 작성일 :

감상 완료일 :

게시물 검색
SKIN BY ©Monghon
arrow_upward